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된다! 최대 300만 원까지 혜택받는 방법

by 가람1010 2025. 7. 2.
반응형

 

 

 

"헬스장 ·수영장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7월부터 적용!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된다!

 

2025년 7월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에 대해 최대 30%까지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지금까지는 도서·공연·신문구독료 등 문화활동 중심이었지만, 체육시설까지 공제 대상이 확대되면서 건강도 챙기고 세금 혜택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죠.

이용료에 대한 소득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가 홈택스에 연동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기회에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문화비 소득공제란?

‘문화비 소득공제’는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가 도서, 공연, 박물관·미술관, 체육시설 이용료 등에 대해 소득의 일부를 빼주는 제도입니다. 이 공제를 받으면 연말정산 시 환급금을 더 받을 수 있거나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


│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 핵심 요약

항   목 내     용
적용 시점 2025년 7월 1일 이후 결제 건부터
공제 비율 결제 금액의 30%
공제 한도 최대 300만 원까지 (문화비 전체 기준)
대상자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
적용 시설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체육시설 (약 16,000곳)

│ 어떤 비용이 소득공제 되나요?

헷갈릴 수 있는 공제 대상 항목, 아래 표로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항   목 공제여부
헬스장 일일권 / 정기권 ✅ 전액 공제
수영장 입장권 ✅ 전액 공제
PT/수영 강습 등 강습료 포함 ⚠️ 50%만 공제
체육시설 내 운동복, 음료 구입 ❌ 공제 제외

Tip. 입장권은 무조건 공제되지만, 강습이 포함된 상품50%만 해당된다는 점 기억하세요.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된다!

 

│ 소득공제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소득공제 등록된 시설인지 먼저 확인하세요.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2. 카드결제 필수! – 현금결제는 공제 안 됩니다.
    → 신용카드, 체크카드, 문화누리카드 사용 시 적용
  3.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동 반영
    → 사용내역은 국세청 홈택스에 자동으로 연동됨

 

 

 

🧾 소득공제 예시로 알아보기
예시 1. 월 10만 원 헬스장 정기권 x 6개월
→ 60만 원 × 30% = 18만 원 공제
예시 2. PT포함 월 20만 원 × 3개월 (강습료 50%)
→ 60만 원 중 30만 원만 공제 대상 → 30만 × 30% = 9만 원 공제
💬 체육시설 소득공제, 앞으로 더 확대될까?
정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의료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책 반응이 좋으면, 요가·필라테스·골프 연습장 등 다른 체육시설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헬스장 등록만 하면 자동으로 소득공제 되나요?
A. 아니요.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사업자로 등록된 곳에서만 적용됩니다.

Q2. 비급여 항목도 공제되나요?
A. 입장권은 전액, 강습료는 50%, 물품구매는 제외입니다.

Q3. 직장인 외에도 받을 수 있나요?
A.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만 해당됩니다. 프리랜서나 사업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마무리 요약

  • 7월 1일부터 헬스장·수영장도 소득공제!
  • 입장료는 전액, 강습료는 50%만 적용
  • 연 300만 원 한도, 카드결제 필수
  • 문화비 소득공제 홈페이지에서 등록 사업장 확인 필수!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