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사업·정책자금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자격, 혜택 완벽 정리

by 가람1010 2025. 8. 11.
반응형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돕는 대표 금융상품, 신청 자격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KB국민은행은 2025년 8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8월 14일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이번이 금년도 마지막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정부기여금과 금리우대, 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지는 획기적인 금융상품으로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번에 꼭 신청헤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1. 청년도약계좌 신청 – 안정적인 목돈 마련을 위한 첫걸음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정부 지원과 은행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이 일정한 소득 요건을 충족하면 KB 국민은행을 포함한 시중은행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특히 KB 국민은행은 온라인·모바일 신청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바쁜 직장인이나 대학생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 자격 – 소득과 나이 기준이 핵심

청년도약계좌 자격 요건은 ‘총급여액 7,500만원(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와 만 19~34세 나이 제한이 있습니다.
특히 나이를 계산할 때 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을 차감하므로 만 40세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KB 국민은행은 신청 과정에서 소득을 전산으로 확인해주어 별도의 복잡한 서류 제출 부담이 줄어듭니다.

단,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하나, 육아휴직급여 또는 군 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는 가입요건 소득에 포함합니다. 소득 계산은 가구 소득을 의미하는데,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또한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합니다. 


3.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 모바일 앱으로 10분이면 완료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은 먼저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19개)을 선택하고 선택된 은행에 신청합니다. 선택한 은행이 KB국민은행이라면 KB스타뱅킹 앱 또는 KB 국민은행 영업점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모바일 신청 시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와 신분증만 있으면 되며, 자동으로 자격 여부를 조회해줍니다. 서류 제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바일로 사진 업로드만 하면 돼 간편합니다.


4.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 여유 자금을 한 번에 불입 가능

기본적으로 매달 자동이체로 납입하지만,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기능을 통해 여유 자금을 한 번에 불입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목돈을 빨리 모으고 싶은 청년들에게 특히 유리하며, KB 국민은행은 일시납입 시에도 정부 매칭 지원금과 이자 혜택을 그대로 적용해 줍니다.

다음은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주요 내용입니다. 

  1. 일시납입금액은 최소 200만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입니다. 
  2.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을 매월 납입된다고 간주합니다. 
  3. 따라서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하여야 합니다.
  4. 월 설정금액은 40,50,60,70만원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가입자의 목적에 따라 설정)
  5. 일시납입금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지급합니다. 
  6. 신규 납입은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합니다. 즉, 60개월 중 일시납입한 기간을 뺀 기간 동안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가능합니다. 

5. 청년도약계좌 혜택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혜택의 핵심은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우대금리입니다. 우대금리는 취급은행마다 다른 금리를 적용하므로 신청하기 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청년은 정부기여금 최대 33,000원을 받을 수 있고, 총급여 6,000만원 이하(종합소득 4,800만원)는 정부기여금 21,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육아휴직급여 또는 군장병급여만 있는 자는 총급여 기준으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산정되며, 청년도약계좌 재가입자는 조정 비율이 적용되어 정부기여금이 재산정됩니다. (조정비율 = (60개월 - 기 가입기간) ÷ 60개월)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6. 청년도약계좌 기간 – 최대 5년 유지로 목돈 완성

청년도약계좌 기간은 60개월(5년)이며, 중도 해지 시 일부 혜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KB 국민은행은 장기 유지 고객을 위해 중도 인출 제한, 우대금리 연장, 추가 이벤트 등 다양한 유지 장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60개월 동안 매월 1,000원 ~ 70만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습니다.  금리는 취급은행 자율로 결정하나, 3년 동안은 고정금리 나머지 2년 동안은 변동금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전액 비과세입니다. 


7. 청년도약계좌 은행 – KB 국민은행 선택 이유

청년도약계좌 은행은 KB 국민은행 외에도 여러 금융기관(19개)에서 가입 가능하지만,
KB 국민은행은 전국적인 지점망, 편리한 모바일 서비스, 추가 우대금리 이벤트가 강점입니다. 특히 KB스타뱅킹 전용 이벤트로 현금 리워드나 기프티콘 증정 등 부가 혜택이 자주 진행됩니다.


📌 마무리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이 안정적으로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정부기여금과 금리우대 혜택을 결합한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을 먼저 확인하고, 모바일 또는 영업점을 통해 신청하면 편리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혜택을 극대화하려면 장기 유지와 일시납입을 병행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5년 뒤 '5000만원' 꽂힌대서 들떴는데'…'청년도약계좌' 올해 끝, 그 다음은?

경제·금융 > 경제·금융일반 뉴스: 연 9%대 적금 효과로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해온 정책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가 올해를 끝으로 사실상 종료된...

www.sedaily.com

 

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