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장려와 육아 초기 지원을 목적으로 정부가 제공하는 첫만남이용권 제도는 신생아 가정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누가 받을 수 있는지, 어디서 신청하는지,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첫만남이용권의 지원 대상, 금액, 신청 절차, 사용처 및 유의사항을 정리해 드립니다.
✅ 첫만남이용권이란?
첫만남이용권은 정부가 신생아 양육 가정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출산 초기 아동 양육 지원금입니다.
자녀 출생을 축하하고, 육아 준비 비용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며,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형식으로 지급됩니다.
✅ 지원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
- 출생신고 완료 후 주민등록상 부모와 동일 세대원일 것
- 국적이 대한민국이어야 하며, 해외 거주자 제외
- 수혜자 기준: 아동 1인당 1회 지급
※ 외국인 부모라도 자녀가 대한민국 국적이면 지급 가능
✅ 지원금액
- 1인당 200만 원 (2025년 현재 기준 변동 없음)
- 일시금으로 지급되며 유효기간 내 사용해야 함
✅ 신청방법
구 분 | 방 법 |
온라인 신청 | 정부24(www.gov.kr), 복지로(www.bokjiro.go.kr) 통해 신청 가능 |
오프라인 신청 |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
신청자 | 보호자(부모 등 법정대리인)만 신청 가능 |
📌 신청 시 필요서류
- 신청자 신분증
- 아동과의 가족관계 확인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등)
- 국민행복카드 (기존 발급자), 미소지 시 카드 신청 필요
✅ 지급 방식 및 사용 기간
-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형태로 지급
- 카드사 (KB국민, 삼성, 신한, 롯데, 하나, BC 등) 선택 가능
- 지급 후 사용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1년
- 미사용 포인트는 소멸되므로 기한 내 사용 필수
✅ 첫만남이용권 사용처
다음 항목에 해당하는 업종 및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 가능한 곳
- 산후조리원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비용
- 유아용품 판매점(기저귀, 분유, 유모차 등)
- 아동병원 및 소아과 진료비
- 약국, 의약품 구매
- 정부 지정 온라인 쇼핑몰 일부 (예: 아이사랑몰)
❌ 사용 불가 항목
- 부모 식비, 성인용품
- 여행, 외식, 유흥 관련 지출
- 아동과 직접 연관 없는 품목
※ 실수로 부적격 업종에서 사용 시 환수 또는 사용 제한 조치가 있을 수 있음
✅ 첫만남이용권과 함께 받을 수 있는 다른 혜택
제도명 | 주요 내용 |
양육수당 | 가정에서 양육 시 월 30~50만 원 지급 |
영아수당 | 만 0~1세 아동에게 월 30만 원 지급 (2025년 기준) |
보육료 지원 | 어린이집 이용 시 정부에서 전액 또는 일부 지원 |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 |
➡️ 중복 수급 가능, 단 일부는 소득·재산 기준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첫만남이용권 신청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이후 신청 시 일부 제한될 수 있습니다.
Q2. 카드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 신청 시 국민행복카드 신규 발급이 함께 진행됩니다.
Q3. 온라인 쇼핑도 가능한가요?
👉 가능하나, 지정된 육아 관련 온라인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 마무리: 첫만남이용권으로 육아의 첫 걸음을 가볍게
출산과 동시에 육아는 많은 비용과 부담을 동반합니다.
정부의 첫만남이용권 제도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아이의 출생을 축하하는 국가 차원의 출산 지원 정책입니다.
꼭 신청 기한을 지키고, 카드사 선택과 사용처 확인을 통해 200만 원을 알차게 활용해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첫만남이용권·아동수당·부모급여... 조부모가 대신 받을 수 있을까? - 베이비뉴스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다. 많은 국민들이 아이를 낳고 기르는 데 따르는 ‘경제적 부담’을 출산을 꺼려하는 가장 큰 이유로 꼽
www.ibabynews.com
기초수급은 2자녀, 전기료 감면은 3자녀…헷갈리는 다자녀 기준 | 중앙일보
5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다자녀 혜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 13가지의 복지가 이런 기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금은 3자녀 이상 가구에 한해 배기량 2500cc 미
www.joongang.co.kr
'지원사업·정책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창업지원금 2025 총정리: 창업의 문을 여는 첫 번째 기회 (0) | 2025.08.05 |
---|---|
청년창업대출 총정리: 자금 부족한 청년 창업자를 위한 현실적인 금융지원 가이드 (1) | 2025.08.05 |
🚀 초기창업패키지 2025, 창업 3년 차 이내라면 주목하세요! (13) | 2025.08.04 |
🔥2025 예비창업패키지 총정리! 창업지원금 최대 1억 원까지?! (2) | 2025.08.04 |
🎓 청년몽땅정보통으로 서울 청년 혜택 한눈에!|2025년 3대 지원사업 총정리 (9)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