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의 정확한 뜻과 법적 기준, 그리고 고소 절차 및 처벌 수위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피해자 보호제도와 실제 대응 방법도 함께 알아보세요.
1️⃣ 성희롱의 뜻 — 어디까지가 ‘성희롱’일까?
‘성희롱’은 단순히 불쾌한 말을 하는 수준이 아니라,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성적인 언행으로 불쾌감이나 굴욕감을 주는 행위를 말합니다.
즉, 성적 수치심을 느끼게 하거나 업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라면 모두 성희롱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법적 정의
「남녀고용평등법」 제2조 제2호에 따르면,
*“성희롱이란 직장 등에서 성적 언동 등으로 상대방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구 분 | 예 시 |
언어적 성희롱 | 외모·옷차림에 대한 성적 농담, 음담패설, 음성메시지 전송 등 |
신체적 성희롱 | 원치 않는 신체접촉, 포옹, 어깨 안마 등 |
시각적 성희롱 | 음란물 노출, 성적 사진·영상 보여주기 등 |
2️⃣ 성희롱 고소 가능 여부 — 반드시 ‘증거’가 핵심입니다
성희롱은 피해자의 진술만으로도 수사가 개시될 수 있지만, 증거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직장 내 성희롱의 경우, 가해자와의 권력관계나 증거 부족으로 인해 고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자료를 미리 확보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성희롱 고소 시 필요한 증거
- 문자, 카카오톡, 이메일, 음성 녹음
- CCTV, 사내 메신저 대화 내역
- 목격자 진술
- 병원 진단서(정신적 피해 포함)
✅ TIP:
고소는 피해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가능하며,
신고는 경찰서,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산하 상담소 등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성희롱 처벌 —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법적 제재
성희롱은 형사처벌, 징계, 행정조치로 나뉩니다.
특히 직장 내 성희롱은 사업주에게도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구 분 | 법적 근거 | 처벌 내용 |
일반 성희롱 | 형법 제298조(강제추행) 등 | 10년 이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 벌금 |
언어·시각적 성희롱 | 정보통신망법, 모욕죄 등 | 1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
직장 내 성희롱 | 남녀고용평등법 제37조 | 사업주 미조치 시 500만 원 이하 과태료 |
2차 가해 | 피해자 비난, 불이익 조치 등 | 징역형 또는 손해배상 책임 가능 |
💬 주의:
피해자에게 불이익(인사조치, 감봉 등)을 주면 사업주 또한 형사처벌 대상이 됩니다.
4️⃣ 성희롱 피해 시 대처 방법 — 혼자 참지 마세요
- 증거 확보: 녹음, 문자, 목격자 진술 등 확보
- 내부 신고: 회사 내 고충처리위원회 또는 인사부서에 신고
- 외부 신고:
- 여성가족부 성희롱·성폭력 상담전화 ☎ 1366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 1350
- 경찰서 또는 검찰청 접수
- 법률 상담: 한국성폭력상담소, 대한법률구조공단을 통한 무료 상담 가능
✅ 핵심 정리 BOX
항 목 | 요약 내용 |
성희롱 뜻 | 상대방의 동의 없이 성적 언행으로 불쾌감·굴욕감을 주는 행위 |
고소 가능 여부 | 증거 확보 시 3년 내 고소 가능 |
처벌 수위 | 징역형 또는 벌금형 가능, 사업주도 제재 가능 |
신고 기관 | 경찰서,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1366), 법률구조공단 |
💬 마무리 — 성희롱은 “사소한 일”이 아닙니다
성희롱은 피해자의 삶과 직장생활을 크게 흔드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당황하거나 주저하지 말고, 증거 확보와 신고를 통해 법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우리 사회가 더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이 되기 위해서는 **‘피해자 보호와 인식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성희롱예방교육, 아직도 미루고 계신가요? (필수 법정의무교육 총정리)
안녕하세요! 건강한 조직문화를 만드는 첫걸음, 바로 성희롱예방교육입니다. 매년 1회 이상 필수로 진행해야 하는 '법정의무교육'이지만, 많은 사업장에서 그 중요성을 간과하거나 형식적으로
victory.achimgol.com
🚗 자동차보험 갱신, 놓치면 과태료 폭탄! 갱신기간·날짜·비교 꿀팁 총정리
자동차보험 갱신은 의무사항입니다. 갱신일 놓치면 과태료가 부과되고, 무보험 운전이 될 수 있습니다. 갱신기간·날짜 확인법부터 보험료 비교 꿀팁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1. 자동차보험 갱
achimgol.com
🧾 2026 실업급여 조건 변경 기준 총정리
1. 2026 실업급여 조건 변경 기준, 왜 주목해야 할까?2026년부터 실업급여(구직급여) 제도가 크게 달라집니다.하루 최대 지급액인 상한액이 인상되고, 하한액 조정으로 저임금 근로자의 수급액이
achimgol.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폐가구 수거 완전정리|무상수거부터 스티커 신청까지 한눈에! (0) | 2025.10.23 |
---|---|
🏛️ 이혼조정신청 절차 총정리 | 조정이혼절차 한눈에 보기 (0) | 2025.10.23 |
💼 자발적 퇴사자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2025 최신 인정 사례 총정리 (0) | 2025.10.21 |
🇰🇭 캄보디아 납치 20대: 해외 취업의 함정, 그들은 왜 표적이 되었나 (0) | 2025.10.20 |
2025 화담숲 예약 방법 완전 정리 (입장료, 할인, 모노레일 정보 포함) (0) | 2025.10.20 |